재배학 정리(2)
일액현상
식물체 배수조직에서 물방울로 배출되는 수분
육상고등식물에서 수공, 배수세포, 배수모에서 배수현상
근압에 기인, 근압이 높아지면 물은 수공에서 밀려 나감
세포의 물 수분퍼텐셜이 0이 되어 흡수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일어남
야외에서는 밤~이른 아침
증산억제, 뿌리 흡수 촉진 조건에서 잘 일어남
잎 가장자리의 수공을 통해 물방울이 맺혀 있음
광보상점은 음생식물에 비하여 양생식물의 높다
종자의 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품종 간에 자연교잡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리재배를 함
콩, 팥은 무배유종자
노후답의 재배대책
조기재배, 덧거름 중점의 시비, 엽면시비
출수개화기 때 관수해가 가장 큼
원형단백질의 응고가 저장 중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가장 큰 원인임
K, Ca, S 작물생육의 필수원소에 속함
일류관개는 등고선에 따라 수로를 내고, 임의의 장소로부터 월류하도록 하는 방법
벼의 작물 생육 초기부터 출수기에 걸쳐 냉온을 만나 출수가 늦어져 등숙 불량을 초래하는 지연형 냉해
미나리, 양배추는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에 속함
규소
규질화를 이루어 병에 대한 저항성 향상
수광태세를 좋게 함
증산을 경감하여 가뭄해를 줄임
피자식물의 종자형성
중복 수정
정핵과 난세포가 결합하여 배를 형성
정핵과 극핵이 결합하여 배유를 병성
붕소의 생리작용
결핍증은 저장기관에 나타나기 쉬움
결핍 시 수정, 결실이 나빠짐
촉매 또는 반응조정물질로 작용
체내 이동성이 어려움
Mg 식물체 내에서 이동이 용이함
당근, 양파, 파는 내습성이 매우 약함
열해 대책
질소질 비료를 줄임
관개를 통해 지온을 낮춤
밀식을 피함
환기를 통해 고온을 회피
기장은 요수량이 매우 적음
사과나무, 포도나무는 기지가 문제되지 않음
벼는 최고분얼기~유수형성기 때 중간낙수가 필요한 생육단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