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정리(1)
세포벽이 있는 식물병원균 : Xanthomonas, Phytophora, Xyrella
세포벽이 없는 식물병원균 : Phytoplasma
크기가 가장 작은 식물병원체 = 바이로이드
기주체 침입 시 병원균이 분비하는 효소 : 큐틴, 펙틴, 셀룰로오스, 리그닌 분해효소
큐틴 Cutinase
펙틴 Pectinas
셀룰로오스 Cellulase
리그닌 ligninase
식물병원체가 생산하는 기주 특이적 독소 : Victorin, T-toxin, HT-toxin, AM-toxin, ACL, HS, ACT, AF
비기주 특이적 독소 : Tabtoxin, Phaseolotoxin, Tentoxin, Fumarlc acid, Alternarlc acid, Ceratoulmin
생물적 방제제 : 느리고 효과 기대가 어렵, 광범위 어렵, 병 발생 후 어렵
진균 : Ampelomyces, Candida, Coniothyrium, Glicoladium, Trichoderma
세균 : Agrobacterium, Bacillus, Pseudomonas, Streptomyces
기타 :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일반적으로 풋마름, 뿌리혹, 더뎅이, 무름은 세균성인 듯하다
모자이크 증상은 대게 바이러스
밀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매자나무며
매자나무과에 대표적으로 매자나무·삼지구엽초·남천·매발톱나무·산매자나무·연밥매자나무를 기억하면 될 듯 싶다
사과나무 부란병에서 알콜,시큼한 냄새가 난다고 한다 (이름만봐도 그럴 거 같다)
무늬가 들어간 병명은 곰팡이쪽으로 생각하자(진균)
접합균류에 속하는 곰팡이에 의한 고구마 무름병
접합균류는 진균류 중 하나
고구마 검은무늬병 = 접합균류에 속하는 곰팡이는 아니다. 진균계 자낭균문 구과균
아무리봐도 산업폐기물이 생물성 같진 않지
소나무 혹병은 참나무류(참이 없는 참나무 = 떡갈,신갈)
소나무류 잎녹병이 참취, 잔대, 황벽나무
코흐의 원칙
바이러스는 배양이 안되기 때문에 불가능
병환부에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병원체가 항상 존재해야함
미생물은 분리되어 배지 위에서 순수배양되어야 함
순수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하여 동일한 병이 발생되어야 함
발병된 피해부위에서 접종에 사용되었던 미생물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미생물이 재분리되어야 함
비 생물학적 병원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적 피해는 병징만 나타남
균사나 분생포자의 세포가 비대해지면 후벽포자가 생성됨
벼 도열병 방제로 파종시기를 일찍하고 논바닥이 마르지 않도록 덧거름은 너무 늦지 않도록 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 품종 재배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은 여름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채소류의 잿빛곰팡이병 방제방법은 관수를 최소한으로 줄임, 온도 18~23도 되지 않도록, 하우스 습도를 낮게 유지
밤나무 줄기마름병균은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지 않는다
감자역병
공기전염성균과 토양전염성균이 있음
잎 언저리에 암록색의 수침상 부정형 병반을 형성
주로 기온 20도 내외에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 발병
수목 뿌리의 자주날개무늬병의 진균류는 담자균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방법으로
토양관주
위생간벌
피해목 제거
파이토플라즈마
세포벽이 없다
인공배지에 생장 안함
매개충에 의하여 전파됨
테트라싸이클린에 대해 감수성
대추나무 빗자루병에서 표징을 관찰할 수 없음
오이 모자이크병은
대부분 종자전염은 없음
오이 외에 다양한 작물에 발병
감염된 잎에서 다수의 황색의 반점 발생
보리 흰가루병균은 순활물기생체
보리 붉은곰팡이병은 가축에 유독함
벼 깨시무늬병, 보리 줄무늬병, 보리 흰가루병은 유독 하지 X
병원균의 새로운 레이스 출현으로 어떤 작물 품종이 특정 병에 대한 저항성에서 감수성으로 바뀌게 되는 주요 요인임
식물체 속에 형성되는 페놀(phenol)류는 저항성 기작과 관련이 있음
오이류 덩굴쪼김병의 방제로
- 종자소독
- 저항성 품종 재배
- 호박이나 박을 대목으로 접목 재배
잎 표면에 약제 집중 살포는 효과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