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농학

식물보호기사 정리(2)

기드혼 2019. 10. 8. 11:48

주둥이를 식물체에 찔러 넣어 즙액을 빨아먹는 곤충으로

진딧물, 노린재, 애멸구

 

벼물바구미 1년 1회 발생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일반적 특징

겹눈과 홑눈이 있다

더듬이는 한 쌍

성충의 다리는 세 쌍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애멸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 매개

우리나라 월동 가능

보독충의 알에도 바이러스 병원균이 있을 수 있음

 

곤충의 체벽(외골격) 구성 요소 바깥쪽부터 순서대로

상큐티클-외큐티클-지피-기저막

 

총채벌레목

단위생식도 함

입틀의 좌우가 다름

불완전변태군에 속함

산란관이 잘 발달하여 식물의 조직 안에 알 낳음

 

윤작의 방제효과 굉장히 미비한

생활사가 짧은 해충류

 

미국흰불나방은 가해하는 기주가 굉장히 다양함

 

한여름 휴한기 비닐하우스 밀폐하고 토양 온도 높임으로 땅속 해충 방법 법

물리적 방제법

 

곤충의 배설계

말피기관의 끝은 막혀 있음

말피기관은 중장과 후장의 접속부분에서 후장에 연결되어 있다

말피기관 밑부와 직장은 물과 무기이온을 재흡수하여 조직 내의 삼투압을 조절함

 

오리나무잎벌레 - 성충일 때 휴면 발육단계

 

콩의 어린 꼬투리에 유충 - 콩나방

 

생물적 방제법 기생성 천적

굴파리좀벌, 온실가루이좀벌, 콜레마니진디벌

 

소나무재선충 매개 해충 -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걸어 다니는 기능 이외 다른 목적으로 변형된 다리를 가진 곤충

꿀벌, 사마귀, 땅강아지

 

복숭아혹진딧물은

간모는 단위생식을 한다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

날개가 있는 유시충과 날개가 없는 무시충이 존재

 

정주성 내부기생선충으로 2령 유충만이 식물을 침입할 수 있는 감염기의 선충 - 뿌리혹선충

 

발육영점온도 추정법 - -b ÷ a

 

말매미는 유충에서 성충까지 입틀의 형태가 변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