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농학

식물보호기사 정리(4)

by 기드혼 2019. 10. 11.

잡초방제학

 

제초제의 약해가 발생하는 주요요인

농약 상호작용

환경 중의 확산

토양 중 제초제 잔류

 

논 다년생잡초 증가 주요 요인

추경 감소

동일 제초제 연용

벼의 조기이식 재배

 

잡초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요인 일부

토양심도, 토양수분, 토양온도

 

잡초 종자의 휴면 원인

미숙한 배

두꺼운 종피

발아억제 물질 존재

 

잡초 분류의 형태적 특성 예시

광엽류 잡초

화본과류 잡초

방동사니과류 잡초

 

이사-디 액제

페녹시계 제초제

광엽잡초에 특히 활성이 높음

주로 논 제초제로 사용

 

작물과 잡초의 양분경합에서 크게 관여하는 비료성분

질소

 

작물과 잡초가 경합할 때 작물에 피해가 가장 큰 경우

C3 작물과 C4의 잡초

 

잡초 발생이 가장 많은 벼 재배 방식

건답직파

 

종자 번식 잡초

강피, 물달개비

 

밭에서 주로 발생하는 잡초

쇠비름, 바랭이

 

가을에 발생하여 월동 후에 결실하는 잡초

별꽃, 뚝새풀, 벼룩나물

 

생물적 잡초방제를 위한 곤충을 사용할 때 곤충에 대한 유의사항

환경에 잘 적응

문제 잡초를 선별적으로 찾아다닐 수 있는 이동성

대상 잡초에만 피해를 주고 잡초가 없어지면 천적 자체도 소멸

 

잡초란

인간의 의도에 역행하는 식물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기 위해 이식재배를 함

 

벼와 피의 주된 형태적 차이로 벼에만 잎혀가 있음

 

지속적인 예취의 결과에

잡초 결실을 미연에 방지

키가 큰 차광 피해를 제거

다년생 잡초의 저장양분을 고갈

 

제초제의 선택성을 발휘하는 주요 요인

잡초의 생장점 위치

잡초 뿌리의 분포 깊이와 형태

잡초 종자의 발아 및 출아 심도

 

올방개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페녹슐람 액상수화제다

 

제초제의 대사

생물적 변형이라고도 함

유기제초제가 완전히 산화하여 탄산가스로 변화되는 경우는 매우 드뭄

식물 체내에 흡수, 이행된 제초제가 본래의 화학구조에서 다른 것으로 변형되는 것

'스터디 > 농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보호기사 정리(6)  (0) 2019.10.15
식물보호기사 정리(5)  (0) 2019.10.14
식물보호기사 정리(3)  (0) 2019.10.10
재배학 정리(1)  (0) 2019.10.09
식물보호기사 정리(2)  (0) 2019.10.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