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13 재배학 메모(1) 무기영양설 - LIEBIG 시토키닌 - SKOOG 최소율 = 시비량을 결정하는 원리가 될 수 있다. LIEBIG 콩과작물 공중질소 고정 - Boussingault 토양 중 유기물로부터 영양 = Aristoteles 수경재배법 = sachs &knops 돌연변이설 = De Vries 교배 잡종 교잡 작물 개량 가능성 최초 = Koelreuter 보르도액 = Millardet 2,4-D = Pokorny 제초제 최초 유전자중심설 = N.T. Vavilov 지리적 미분법 재배식물 기원 연구 = Vavilov 기원지 12개 지역 세분한 사람 = Zeven, De Wet 식량 사료 균형 생산 = 포경 식경 주요 작물 = 사탕수수 1년생 월년생 초본작물 농지 = 포지 삼한시대 오곡X = 벼 처음 육지 식물 이끼식물.. 2020. 10. 8. 영단어 1 셀 수 있음 discount permit machine location employee chance document increase position 셀 수 없음 advice baggage luggage employment equipment information access machinery merchandise stationery 단어 retail sales apparel decline significant donation packet include available claim clerical field office establish trust potential buyer air-traffic controller 2020. 8. 8. 식물보호기사 정리(8) 잡초방제학 바랭이는 콩, 옥수수 등 여름작물 포장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잡초 뚝새풀, 별꽃은 우리나라에 발생되는 월년생 잡초 잡초허용한계밀도는 잡초 밀도가 어느 수준 이상으로 존재하면 작물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수준임 잡초의 식물학적 분류 순서로 계-문-강-목-과-속-종 어저귀는 사료용 옥수수 재배포장에 대량 발생되어 문제되는 외래잡초 잡초의 특징 휴면성이 있음 영양생장기에 빠른 생장특성을 보임 불연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조절하는 발아성을 보임 생장조건에 따라 지속적인 종자생산력이 있음 애기달맞이꽃, 서양민들레는 외국에서 유입된 잡초 생활사에 따른 잡초의 분류 1년생, 월년생, 다년생 로제트형 : 민들레 총생형 : 뚝새풀 포복형 : 메꽃 물피는 벼와 광 경합이 가장 큰 식물 종 2,4-D는 페녹시계 제초.. 2019. 10. 18. 식물보호기사 정리(7) 농약학 휴면기 때 약해의 염려가 가장 적다 디니코나졸 액상수화제는 백합의 신장억제 및 배추의 생장억제에 사용되는 생장조정제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 유기인계 유기인계 살충제 파라티온(Parathion) 다이아지논(Diazinon)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훈연제는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됨 천연 성분의 살충제 피레트린(Pyrethrin) 니코틴(Nicotine) 로테논(Rotenone) 제충국은 피레트린(Pyrethrin)을 함유하는 천연 살충용 식물 수화제는 현수성과 수화성을 이용한 약제 황산구리는 보르도액의 주성분이다 농약의 화학적 변화 DDVP 유제가 수산화이온(OH)에 의해 유기산과 페놀류 등으로 분해됨 만코제브 수화제가 대기 중에서 분해됨 토양 중의 금속이 농약과 반응하여 농약.. 2019. 10. 17. 재배학 정리(2) 일액현상 식물체 배수조직에서 물방울로 배출되는 수분 육상고등식물에서 수공, 배수세포, 배수모에서 배수현상 근압에 기인, 근압이 높아지면 물은 수공에서 밀려 나감 세포의 물 수분퍼텐셜이 0이 되어 흡수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일어남 야외에서는 밤~이른 아침 증산억제, 뿌리 흡수 촉진 조건에서 잘 일어남 잎 가장자리의 수공을 통해 물방울이 맺혀 있음 광보상점은 음생식물에 비하여 양생식물의 높다 종자의 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품종 간에 자연교잡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리재배를 함 콩, 팥은 무배유종자 노후답의 재배대책 조기재배, 덧거름 중점의 시비, 엽면시비 출수개화기 때 관수해가 가장 큼 원형단백질의 응고가 저장 중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가장 큰 원인임 K, Ca, S 작물생육의 필수원소에 속함 일류관개는 .. 2019. 10. 16. 식물보호기사 정리(6) 소나무좀은 수목의 줄기(수간)를 가해 항충성은 해충의 생장이나 생존에 불리한 영향을 미쳐 해충의 발육이나 번식을 억제 벼애잎굴파리는 벼 재배 시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저온성 해충이다 도둑나방 부화유충이 떼를 지어 잎뒷면의 잎살을 먹음 배추, 양배추의 결구 속으로 파고 들어가 먹음 앞아 불규칙한 그물 모양으로 됨 잎을 가해하는 청동풍뎅이는 유충태로 땅속에서 월동 복숭아혹진딧물은 기주식물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함 소나무좀, 왕소나무좀, 박쥐나방은 천공성 해충 좀은 날개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무시아강 곤충 기관계는 곤충 체내조직에 산소를 운반 미국선녀벌레는 잎, 줄기를 흡즙함 거북밀깍지벌레는 성충으로 월동 방사선이용법으로 해충의 불임성을 유도 박쥐나방, 포도유리나방은 포도나무 줄기를 가해함 물리.. 2019. 10. 1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