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13

식물보호기사 정리(5) 식물병리학 식물병원균이 이종기생을 하는 경우에 생활환을 완성하기 위해 기주식물을 바꾸는 기주교대를 한다 보리 붉은곰팡이균은 진규의 자낭균류다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한 경종적 방법 윤작 무병종묘 사용 저항성품종 재배 식물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주요 고분자는 핵산과 단백질 껍질 배추 무름병은 병든 부위에서 악취가 남 목재를 썩히는 대부분의 목재부후균은 버섯에 속함 Phytophthora속 균은 비바람에 의함이 전형적인 전반 방법 세균이 뿌리혹병(근두암종병)을 일으킴 박테리오파지의 기주특이성을 이용하여 벼 흰잎마름병을 진단할 수 있음 겨풀은 벼 흰잎마름병의 주요 제1차 전염원 2019. 10. 14.
식물보호기사 정리(4) 잡초방제학 제초제의 약해가 발생하는 주요요인 농약 상호작용 환경 중의 확산 토양 중 제초제 잔류 논 다년생잡초 증가 주요 요인 추경 감소 동일 제초제 연용 벼의 조기이식 재배 잡초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요인 일부 토양심도, 토양수분, 토양온도 잡초 종자의 휴면 원인 미숙한 배 두꺼운 종피 발아억제 물질 존재 잡초 분류의 형태적 특성 예시 광엽류 잡초 화본과류 잡초 방동사니과류 잡초 이사-디 액제 페녹시계 제초제 광엽잡초에 특히 활성이 높음 주로 논 제초제로 사용 작물과 잡초의 양분경합에서 크게 관여하는 비료성분 질소 작물과 잡초가 경합할 때 작물에 피해가 가장 큰 경우 C3 작물과 C4의 잡초 잡초 발생이 가장 많은 벼 재배 방식 건답직파 종자 번식 잡초 강피, 물달개비 밭에서 .. 2019. 10. 11.
식물보호기사 정리(3) 농약학 농약의 약효를 최대로 발현시키기 위한 방법 방제적기에 농약 살포 적정농도의 정량살포 병해충 및 잡초에 알맞은 농약의 선택 manganese ethylenebis(dithiocarbamate)이 주성분인 아연 배위화합물로서 광범한 작물의 탄저병을 포함한 광범위한 병해에 적용되는 보호살균제 농약은 만코제브(Mancozeb)임 신경독 살충제 제충국 살충제 카보(carbofuran) 약효지속기간이 매우 김 속효성이면서 지효성 carbamate계 살충제로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 수면시용법의 특성 물에 잘 풀리고 널리 확산되어야 함 물이나 미생물 또는 토양성분 등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아야 함 가급적 약제의 일부는 수중에 현수되도록 친수 및 발수성을 갖추어야 함 약해가 일어나는 조건 장마철 보르도액의 살포 살포.. 2019. 10. 10.
재배학 정리(1) 영양기관의 분류에서 '박하'는 땅속줄기에 해당함 작물의 생력기계화재배의 전제 조건 잉여노동력의 수익화 방안을 강구 동일한 품종을 동일한 재배방식으로 집단재배 여러 농가가 집단화하여 공동재배시스템을 조성 포장용수량의 pF 2.7 토양산성화의 원인 빗물에 의한 염기용탈 염화가리, 황산암모니아 등의 유입 토양유기물의 분해 볍씨의 휴면을 유기하는 발아억제 물질은 '영(穎)'에 있다 *유기 : 꾀어 일으킴 (유의어 : 유발) 고구마, 감자 등 수분함량이 높은 작물의 저장 시 큐어링을 실시하는 1차 목적은 상처치유 동상해 응급대책으로 물이 얼 때 잠열(숨은열)이 발생되는 점을 이용하여 작물체 표면에 물을 뿌려 주는 살수빙결법이 있음 양배추는 내염성이 강하다 포도는 내습성이 강하다 지베렐린은 장일식물의 화성을 촉진하.. 2019. 10. 9.
식물보호기사 정리(2) 주둥이를 식물체에 찔러 넣어 즙액을 빨아먹는 곤충으로 진딧물, 노린재, 애멸구 벼물바구미 1년 1회 발생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일반적 특징 겹눈과 홑눈이 있다 더듬이는 한 쌍 성충의 다리는 세 쌍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애멸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 매개 우리나라 월동 가능 보독충의 알에도 바이러스 병원균이 있을 수 있음 곤충의 체벽(외골격) 구성 요소 바깥쪽부터 순서대로 상큐티클-외큐티클-지피-기저막 총채벌레목 단위생식도 함 입틀의 좌우가 다름 불완전변태군에 속함 산란관이 잘 발달하여 식물의 조직 안에 알 낳음 윤작의 방제효과 굉장히 미비한 생활사가 짧은 해충류 미국흰불나방은 가해하는 기주가 굉장히 다양함 한여름 휴한기 비닐하우스 밀폐하고 토양 온도 높임으로 땅속 해충 방법 법 물리적 .. 2019. 10. 8.
식물보호기사 정리(1) 세포벽이 있는 식물병원균 : Xanthomonas, Phytophora, Xyrella 세포벽이 없는 식물병원균 : Phytoplasma 크기가 가장 작은 식물병원체 = 바이로이드 기주체 침입 시 병원균이 분비하는 효소 : 큐틴, 펙틴, 셀룰로오스, 리그닌 분해효소 큐틴 Cutinase 펙틴 Pectinas 셀룰로오스 Cellulase 리그닌 ligninase 식물병원체가 생산하는 기주 특이적 독소 : Victorin, T-toxin, HT-toxin, AM-toxin, ACL, HS, ACT, AF 비기주 특이적 독소 : Tabtoxin, Phaseolotoxin, Tentoxin, Fumarlc acid, Alternarlc acid, Ceratoulmin 생물적 방제제 : 느리고 효과 기대가 어렵,.. 2019.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