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농학

식물보호기사 정리(6)

by 기드혼 2019. 10. 15.

소나무좀은 수목의 줄기(수간)를 가해

 

항충성은 해충의 생장이나 생존에 불리한 영향을 미쳐 해충의 발육이나 번식을 억제

 

벼애잎굴파리는 벼 재배 시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저온성 해충이다

 

도둑나방

부화유충이 떼를 지어 잎뒷면의 잎살을 먹음

배추, 양배추의 결구 속으로 파고 들어가 먹음

앞아 불규칙한 그물 모양으로 됨

 

잎을 가해하는 청동풍뎅이는 유충태로 땅속에서 월동

 

복숭아혹진딧물은 기주식물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함

 

소나무좀, 왕소나무좀, 박쥐나방은 천공성 해충

 

좀은 날개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무시아강 곤충

 

기관계는 곤충 체내조직에 산소를 운반

 

미국선녀벌레는 잎, 줄기를 흡즙함

 

거북밀깍지벌레는 성충으로 월동

 

방사선이용법으로 해충의 불임성을 유도

 

박쥐나방, 포도유리나방은 포도나무 줄기를 가해함

 

물리적 방제는 유아등에 해충을 모이게 하여 잡아 죽임

 

땅강아지는 메뚜기목

 

애멸구는 본답 초기에 벼를 흡즙 가해하며,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무늬오갈병의 바이러스를 매개

 

벼물바구미의 성충은 잎을 가해, 유충은 뿌리를 가해하고 단위생식하며 외래해충임

 

페로몬은 체내에서 소량으로 만들어져 체외로 방출되며 같은 종의 다른 개체에 정보전달수단으로 이용됨

 

혹명나방은 우리나라에서 겨울 동안 월동을 하지 못하는 해충

 

유시아강은 날개를 갖고 있거나 2차적으로 날개가 없는곤충

날개를 접을 수 있는 것을 신시군으로 구분 내시류에

풀잠자리목, 딱정벌레목, 파리목이 있음

'스터디 > 농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보호기사 정리(7)  (0) 2019.10.17
재배학 정리(2)  (0) 2019.10.16
식물보호기사 정리(5)  (0) 2019.10.14
식물보호기사 정리(4)  (0) 2019.10.11
식물보호기사 정리(3)  (0) 2019.10.10

댓글